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뷰 : 1년중 10일만 매매하는 직장인 투자법 (직장인 박민수) -PART1(1~5가지 방법)

by zed 2020. 10. 4.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9auTEmDPJXE


 

안녕하세요!

오늘은 신사임당님 채널에 새로 올라온 '샌드타이거샤크(직장인 박민수)님'의 영상 리뷰를 준비해 봤습니다.

필명부터 뭔가 멋드러진 주식 고수님의 우량주 판단기법!

지금부터 소개합니다.

p.s 10가지 방법론 들으시면 소름이 쫙 끼치실 거에요. 그럼 시작해 볼까요?

우량주 찾는 10단계 방법론

샌드타이거샤크 x 신사임당

 

1. 당기순이익을 확인하라

당기순이익은 월급받는 직장인이라고 생각하면 세금때고 휴대폰비, 밥값 등 생활비까지 모두 제외한 순수한 월급이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기업 역시 설비, 투자,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을 모두 제외한 순수한 이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투자자분들은 이 당기순이익을 통한 우량주 선정에서 이것만 생각하세요.

 

 

3~5년 이내 한 번 이라도 적자면 탈락

* 1년 이내는 분기별로 체크

 

2. 시가총액을 확인하라

시가총액은 현재 발행된 주식수 X 현재 주식 가격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공식은 매우 단순한데요. 각종 공시사이트(거래소공시사이트, 네이버화면, 뉴스 언급 등)에서 해당 내용은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때, 주식관련 사채가 있는지 PER 등은 잘 나와있는지 부수적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향후 단계에 설명 될 것이라 가볍게 넘어가겠습니다.

시가총액으로부터 PER를 체크

CB, BW도 체크하고 있으면 거른다

 

3. PER을 확인하라

바로 위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PER = 시가총액/당기순이익'

이런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PER은 미래의 실적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되는 리포트나 각종 네이버 뉴스 등을 통해서 PER을 체크합니다. 과거의 PER도 물론 중요하지만 현재 초보자를 위한 우량주 판단에서는 미래의 PER 예측이 훨씬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PER이 30인데 미래가치를 따져보니 PER이 7배라면 훨씬 좋은 상태죠? 이 기업의 경우 약 15배가 되는 시점까지는 버텨볼 만한 체력이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미래 PER이 낮은 주식을 구입해서 매력이 없어지는 순간(=PER이 기준보다 높아질 때) 판다는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PER은 낮은 것을 공략하라

팔아야 하는 시점도 생각할 것

 

4. 안정성지표를 확인하라

안정성지표는 재무비율이라고 볼 수 있으며 필수적으로 확인할 사항입니다.

1) 부채비율

2) 당좌비율

3)유보율

이렇게 세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부채비율은 빛...이 아니라 빚이 얼마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기준은 100% 이하면 무조건 좋고 150%가 넘으면 버린다라고 생각해주세요.

다음으로 당좌비율은 단기부채와 현금성 자산을 비교한 것입니다.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해서 현금이 있어야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안하게 되기 때문에 이 비율도 중요합니다.

기준은 100% 이상만 가져가시고 70% 미만은 버린다고 생각해주세요.

마지막으로 유보율은 필수 체크요소는 아니지만 유보금이 많으면 좋다고 합니다.

1)부채비율 : 100% 이하면 담고 150% 넘으면 버려라

2)당좌비율 : 100% 이상만 담고 70% 이하는 버려라

유보율은 있으면 땡큐

 

5. 뉴스와 공시를 체크하라

뉴스와 공시는 약 3년치를 룵으면서 안좋은 이슈를 찾는게 먼저입니다.

최대주주의 소송은 없는지? 기업의 본의아닌 안 좋은 이슈는 무엇인지?

반면에 호재이슈들(자회사 상장, 실적 개선 등)은 무엇이 있는지 등등을 찾아보고

버릴것은 버리고 남길것은 남기면 됩니다.

안좋은 뉴스 위주로 걸러라 | 최소 3년 보라

좋은 뉴스는 땡큐

헉 쓰다보니 잠시 쉬어야겠네요 ㅎㅎ

다음편 PART2에서 나머지 6~10가지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위에 제시된 내용만 익히셔도 아마 약 70~80% 정도는 걸러지고

이미 우량기업만 남아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편에서 만나요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