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생2

요강 닦던 머슴에서 독립운동가가 된 청년의 이야기 요강 닦던 머슴은 어떻게 시대의 영웅이 되었나? 아주 오래전 한국. 한국의 작은 마을. 그 동네에는 활달한 청년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남의집 머슴살이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우 똑똑했다고 전해지는 청년은 머슴살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처지를 비관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매사 주어진 일들에 최선을 다하고 늘 열성적이었다고 한다. 그의 여러가지 일 중에서도 하루를 여는 것은 주인의 요강을 닦는 것이었다. 요강을 닦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더럽고 어린 청년의 입장에서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일을 성실하게 하는 이 머슴의 자세는 주인을 감동시켰다. 그래서 주인은 학자금을 대주면서 평양에 있는 숭실학교에 청년을 보내 공부를 시켰다고 한다. 청년은 주인의 기대에 부응해 우수.. 2022. 9. 4.
습관 만들기 : ①관성의 법칙, ②21의 법칙 ① 관성의 법칙 인간은 변화를 좋아할까, 싫어할까? 질문이 어렵다면...지금 침대위에 누워있는 당신! 일어나고 싶은가, 5분 더 자고 싶은가? 아마도 자고 싶겠지? 그렇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변화를 싫어한다. 그 이유는 그 변화가 긍정의 효과를 내든 부정의 효과를 내든지간에 스트레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안정을 지향하는데, 변화는 그것에 역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변화를 싫어하는 무의식의 반응을 우리는 '관성'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관성의 법칙은 우리를 과거의 상태로 남기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관성의 법칙이라는 장애물을 부수거나 넘거나 피해야만 한다. 위에서 알고보니 '관성'은 조금 부정적인 느낌이 든다. 그렇다면 '습관'은 어떨까? 습관은 부정적인 것과 .. 2022.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