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긍정7

끌어당기고 빌기만 하면 뭐하나? 막상 노력·행동을 안하는데..(feat.끌어당김의 법칙) 끌어당김의 법칙에 대한 비판적 고찰: 긍정적 사고의 한계와 현실적 적용 가능성 최근 자기계발 및 영적 실천 분야에서 "끌어당김의 법칙(Law of Attraction)"이 유행하면서, 이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이 법칙은 "긍정적인 생각이 긍정적인 현실을 창조한다"는 단순명료한 논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 실효성과 과학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는 이 현상을 인지심리학, 사회철학, 과학적 검증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맹목적 낙관주의와 행동의 결여라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1. 끌어당김의 법칙의 개념적 기원과 대중적 확산 1.1 신사상운동에서 현대 자기계발까지끌어당김의 법칙은 19세기 미국 신사상운동(New Thought)에서 비롯된 영적 개념으로, "에너지 공명"을 통.. 2025. 3. 3.
Start with How! '어떻게'로 만드는 습관의 비밀! '왜'가 아니라 '어떻게'에 집중하라고?!! 평소 스타트업과 관련된 강의를 듣는 사람들에게는 조금 당황스러운 문장이 아닐 수 없다. 대표적인 기획자라고 할 수 있는 사이먼 사이넥의 'Start with Why'라는 책에서도 볼 수 있듯, 어떤 사업을 시작할 때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방법이 아닌 비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왜'가 중요하다고 해서 '어떻게'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그럼 '어떻게'가 중요해지는 것은 어떤 상황일까? 그때는 바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습관을 길러야 하는 상황! 어떻게 하면 될까? 당신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면 '어떻게 하면 될까?'라고 생각을 해야 한다. '왜'라는 질문은 어떤 문제에 대한 커다란 관점의 당위성을 이야기하는 단계라면 이 문제에 대한.. 2022. 9. 6.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제 2편-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어떤 말을 '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그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믿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지혜의 말씀을 외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 ▶마음을 다스리는 한마디 ​ 어느 날 다윗 왕이 궁중의 보석 세공인을 불러 이렇게 지시했다. "나를 위해 반지를 하나 만들어라. 그 반지에는 내가 큰 승리를 거둬 그 기쁨을 억제하지 못할 때,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를 새겨 넣어라. 또한 그 글귀는 내가 절망에 빠져 있을 때도 나를 구해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왕의 명령을 받은 보석 세공인은 곧 아름다운 반지 하나를 만들었지만, 왕이 지시한 적당한 글귀가 생각나지 않아 곤욕을 치르고 있었다. ​ 그러던 어느 날, 보석 세공인은 솔로몬 왕자를 찾아가 도움을 구했다. .. 2020. 10. 19.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제 1편-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어떤 말을 '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그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믿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지혜의 말씀을 외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 ▶가장 중요한 것 ​ 정보의 홍수 속에서 보다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해 열심히 뛰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일침을 놓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한 선비가 강을 건너게 해 주고 있는 사공에게 으스대며 물었다. "자네 글을 지을 줄 아는가?" "모릅니다." "그럼 세상사는 맛을 모르는구먼. 그러면 공맹의 가르침은 아는가?" "모릅니다." "저런 인간의 도리를 모르고 사는구먼. 그럼 글은 읽을 줄 안느가?" "아닙니다. 까막눈입니다." "원 세상에! 그럼 자넨 왜 사는가?" 이 때 배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게 되었다. 이번엔 반대로 사공이 선.. 2020. 10. 15.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제 3편- 긍정적인 태도의 기초는 '역피해의식(inverse paranoid)'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이 나를 행복과 성공으로 이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오늘은 내게 정말 멋진 일이 분명히 일어날 거야." 이렇듯 항상 자신에게 최고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 책임이다 ​긍정적인 사고는 '책임'을 받아들이는 태도로 나타난다. 책임감이 높은 사람들은 대부분 긍정적이고 낙천적이고 자신감에 차 있다. 반면 무책임한 사람들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이며, 패배주의적이고 냉소적이다. 동시에 목표가 없고 자신감도 없다. 책임을 진다는 것은 미래지향적 행동이지만, 분노와 원망으로 누군가 비난할 대상을 찾는 것은 과거지향적 행동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임감은 통제력과 자유를 동시에 지닌다. 이것은 우리에게 대단히 긍정적이.. 2020. 10. 14.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제 2편- 긍정적인 태도의 기초는 '역피해의식(inverse paranoid)'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이 나를 행복과 성공으로 이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오늘은 내게 정말 멋진 일이 분명히 일어날 거야." 이렇듯 항상 자신에게 최고를 기대하는 것이다. ​ ▶하인즈 워드의 미소 ​ 미식축구 슈퍼볼에서 MVP를 차지한 하인즈 워드(Hines Ward)는 어린 시절부터 미키 마우스를 좋아했다. 그래서 오른쪽 팔에 미키 마우스를 문신했다. 그가 문신을 새긴 데에는 이유가 있었다. 이는 그가 어린 시절부터 혼혈아라는 이유로 받았던 따돌림과 손가락질, 그리고 가난의 어려움 등으로 마음이 아플 때마다 미키 마우스를 보고 웃으면서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에게 미키 마우스는 자신을 웃게 만든느 친구였다... 2020.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