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지개원리7 하버드 대학의 놀라운 연구 결과 99%의 인간은 현재를 보면서 미래가 어떻게 될 지를 예측하고, 1%의 인간은 미래에 이룰 모습을 생각하며 오늘을 살아간다. 곧 자신이 목표로 하고 상상하는 것들을 이루기 위하여 지금 이 자리에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하고 움직인다. -꿈을 품어라- 하버드 대학에는 목표, 곧 꿈이 사람의 인생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유명한 자료가 있다. IQ와 학력, 자라온 환경 등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27%의 사람은 목표가 없고, 60%는 목표가 희미하며, 10%는 목표가 있지만 비교적 단기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단지 3%의 사람만이 명확하면서도 장기적인 목표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을 25년 동안 끈질기게 연구한 결과 재미있는 사실이 발.. 2020. 10. 25.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제 3편-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어떤 말을 '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그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믿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지혜의 말씀을 외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한 가닥의 끈 서른 살의 한 농부가 북적거리는 시장에서 한 가닥의 끈이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는 별다른 생각 없이 그 끈을 주워 주머니에 넣었다. 그런데 그날 시장에서 지갑이 없어지는 사건이 생겼고, 그날 우연히 이 농부가 주머니에 무언가를 넣는 것을 본 사람에 의해 그는 누명을 쓰고 경찰에 연행되었다. 다행히 지갑은 곧 발견되었고 그는 집에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러나 그 뒤 농부는 자신이 불고정한 처사를 당한 것에 대한 불평과 자신에게 혐의를 씌운 사람에 대한 분노를 터뜨리고 다녔다. 그 농부의 마음속에 있는.. 2020. 10. 20.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제 2편-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어떤 말을 '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그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믿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지혜의 말씀을 외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마음을 다스리는 한마디 어느 날 다윗 왕이 궁중의 보석 세공인을 불러 이렇게 지시했다. "나를 위해 반지를 하나 만들어라. 그 반지에는 내가 큰 승리를 거둬 그 기쁨을 억제하지 못할 때, 그것을 조절할 수 있는 글귀를 새겨 넣어라. 또한 그 글귀는 내가 절망에 빠져 있을 때도 나를 구해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왕의 명령을 받은 보석 세공인은 곧 아름다운 반지 하나를 만들었지만, 왕이 지시한 적당한 글귀가 생각나지 않아 곤욕을 치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보석 세공인은 솔로몬 왕자를 찾아가 도움을 구했다. .. 2020. 10. 19. 지혜의 씨앗을 뿌려라 -제 1편-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어떤 말을 '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그 일은 반드시 이뤄진다고 믿는다고 한다. 이는 우리가 지혜의 말씀을 외우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가장 중요한 것 정보의 홍수 속에서 보다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해 열심히 뛰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일침을 놓는 이야기가 하나 있다. 한 선비가 강을 건너게 해 주고 있는 사공에게 으스대며 물었다. "자네 글을 지을 줄 아는가?" "모릅니다." "그럼 세상사는 맛을 모르는구먼. 그러면 공맹의 가르침은 아는가?" "모릅니다." "저런 인간의 도리를 모르고 사는구먼. 그럼 글은 읽을 줄 안느가?" "아닙니다. 까막눈입니다." "원 세상에! 그럼 자넨 왜 사는가?" 이 때 배가 암초에 부딪혀 가라앉게 되었다. 이번엔 반대로 사공이 선.. 2020. 10. 15.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제 3편- 긍정적인 태도의 기초는 '역피해의식(inverse paranoid)'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이 나를 행복과 성공으로 이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오늘은 내게 정말 멋진 일이 분명히 일어날 거야." 이렇듯 항상 자신에게 최고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 책임이다 긍정적인 사고는 '책임'을 받아들이는 태도로 나타난다. 책임감이 높은 사람들은 대부분 긍정적이고 낙천적이고 자신감에 차 있다. 반면 무책임한 사람들은 부정적이고 비관적이며, 패배주의적이고 냉소적이다. 동시에 목표가 없고 자신감도 없다. 책임을 진다는 것은 미래지향적 행동이지만, 분노와 원망으로 누군가 비난할 대상을 찾는 것은 과거지향적 행동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임감은 통제력과 자유를 동시에 지닌다. 이것은 우리에게 대단히 긍정적이.. 2020. 10. 14.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제 1편- 긍정적인 태도의 기초는 '역피해의식(inverse paranoid)'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이 나를 행복과 성공으로 이끈다고 믿는 것을 말한다. "오늘은 내게 정말 멋진 일이 분명히 일어날 거야." 이렇듯 항상 자신에게 최고를 기대하는 것이다. ▶생각을 다스리면 감정이 조절된다 '불행'이 될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해서 '행복'으로 전환시킬 줄 알았던 사람이 바로 대철학자 소크라테스였다. 그는 어떤 악조건 속에서도 행복의 기회를 발견할 줄 아는 긍정적 발상의 주인공이었다. 소크라테스의 아내 크산티페는 말이 많고 성미가 고약했다. 사람들이 묻기를 "왜 그런 악처와 같이 사느냐"고 하니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고 한다."마술에 뛰어나고자 하는 사람은 난폭한 말만 골라서 타지. 난폭한 말.. 2020. 10.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