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습관6 공부 습관? 운동 습관? 둘 중에 하나만 잡혀도 성공하는 이유 여기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이 있다. 당신의 머리 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어떠한가? 성공한 사람들은 왠지 친절하고 차분하고 상냥하며 지적일 것 같다. 옷은 깔끔한 정장이거나 반대로 굉장히 트렌디하고 힙한 느낌일 것 같다. 얼굴은 매우 곱거나 강렬한 인상으로 누구나 좋아할 것만 같다. 몸도 운동을 해서 아주 좋거나 어느정도 탄탄한 몸매를 가지고 있을 것만 같다. 반대로 실패한 사람들을 떠올리면 어둡고 침울한 느낌이 든다. 성격은 괴팍하고 자기 중심적일 것 같다. 옷은 대충 후줄근하게 입거나 잘 빨지 않아서 냄새가 날 것 같다. 얼굴은 관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아서 검버섯이 많고 수염도 채 다듬지 않았다. 머리도 헝클어져있거나 대충 묶어 정리된 티를 내려고 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몸은 왜소하거나 그닥 시.. 2022. 9. 6. 요강 닦던 머슴에서 독립운동가가 된 청년의 이야기 요강 닦던 머슴은 어떻게 시대의 영웅이 되었나? 아주 오래전 한국. 한국의 작은 마을. 그 동네에는 활달한 청년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남의집 머슴살이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우 똑똑했다고 전해지는 청년은 머슴살이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처지를 비관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오히려 매사 주어진 일들에 최선을 다하고 늘 열성적이었다고 한다. 그의 여러가지 일 중에서도 하루를 여는 것은 주인의 요강을 닦는 것이었다. 요강을 닦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더럽고 어린 청년의 입장에서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일을 성실하게 하는 이 머슴의 자세는 주인을 감동시켰다. 그래서 주인은 학자금을 대주면서 평양에 있는 숭실학교에 청년을 보내 공부를 시켰다고 한다. 청년은 주인의 기대에 부응해 우수.. 2022. 9. 4. 좋은 습관이 미켈란젤로에게 가져온 행운 미켈란젤로에게 기회를 준 좋은 습관 옛날에 어떤 영주가 있었다. 그는 자신의 정원을 꾸미는 것을 좋아해 여러 정원사를 고용해 관리를 시켰다. 여러 정원사들 중에서도 한 젊은이가 매우 성실했는데, 그는 정원의 구석구석을 열심히 손질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관리하는 화분의 나무통에 꽃무늬 등을 정성스럽게 조각하고 있었다. 어느날 영주는 그 모습이 기특하기도하고 궁금하기도 해서 그에게 물었다. "이보게. 자네가 화분에 꽃무늬를 조각한다고해서 내가 돈을 더 주는 것도 아닌데 어찌 그것에 그리 정성을 다하는 것인가?" 그러자 젊은 정원사는 머리에 송글송글 맺힌 땀을 닦으며 대답했다. "저는 이 정원을 사랑합니다. 그래서 더욱 아름답게 꾸미려고 조각을 하는 것일 뿐입니다. 저는 조각하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구요. 그러.. 2022. 9. 2. 습관 만들기 : ①관성의 법칙, ②21의 법칙 ① 관성의 법칙 인간은 변화를 좋아할까, 싫어할까? 질문이 어렵다면...지금 침대위에 누워있는 당신! 일어나고 싶은가, 5분 더 자고 싶은가? 아마도 자고 싶겠지? 그렇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변화를 싫어한다. 그 이유는 그 변화가 긍정의 효과를 내든 부정의 효과를 내든지간에 스트레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안정을 지향하는데, 변화는 그것에 역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변화를 싫어하는 무의식의 반응을 우리는 '관성'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관성의 법칙은 우리를 과거의 상태로 남기고자 한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관성의 법칙이라는 장애물을 부수거나 넘거나 피해야만 한다. 위에서 알고보니 '관성'은 조금 부정적인 느낌이 든다. 그렇다면 '습관'은 어떨까? 습관은 부정적인 것과 .. 2022. 9. 1. 좋은 습관을 만드는 나만의 비밀?! 대.공.개 '습관의 힘'에 대해서 여기 작자 미상의 글 하나를 읽어보자. 나는 모든 위대한 사람들의 하인이자 모든 실패한 사람의 하인입니다. 위대한 사람들은 사실 내가 위대하게 만들어 준 것이다. 또한, 실패한 사람들도 내가 실패하게 만들었다. 나를 선택하고 나를 길들여라. 나를 엄격하게 대하라. 그렇게 한다면 내가 당신에게 온 세상을 줄 것이다. 하지만 나를 너무 쉽게 대한다면, 나는 당신을 파괴할지도 모른다. 위에서 말하는 '나'는 누구일까? 예상이 되는가? 아마 눈치챘겠지만...(눈치를 못챘을리가 없다 희희희...) '나'는 바로 '습관'이다. 습관은 이토록 어마어마한 위력을 가지고 있다.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습관에 대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사람은 반복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따라 판명되는 존재.. 2022. 8. 30. 어떻게 하면 좋은 습관을 길들일 수 있을까? 습관에 대해서 매일 루틴 하게 이루어지는 습관은 우리의 삶을 만든다.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것이 쌓이면 당신의 지나온 인생을 보여준다. 또한, 이 과정은 개인의 성공 또는 실패를 결정하는데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습관은 반복을 통해 만들어진다. 또한, 학습을 통해 키우거나 줄일 수도 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은 습관은 결코 하루 이틀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습관이 형성되기까지는 과정이 필요하고 습관을 만들려는 사람의 과감함 결단과 몰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30/90/120의 법칙 만약 당신이 습관 형성을 잘 못하는 사람이라면 30/90/120의 법칙을 추천한다. 이 숫자는 한 달, 두 달, 세 달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떤 습관을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목표들이다.. 2022. 8. 30. 이전 1 다음 반응형